본문 바로가기

로즈리7

[로즈 리의 그래머존] DAY-6 13강 조동사1(+DAY-7 14강 조동사2) 12강은 9~11강에서 다룬 시제 개념, 시간 · 조건 부사절, 시제 일치/불일치 내용과 관련한 EBS 교재 문제풀이 강의였다. 그리고 13강에서는 조동사 내용이 시작되었다. 로즈리 쌤에 따르면 조동사는 가볍게(?) 다음에 배울 가정법을 위한 초석 정도로만 짚어보고 가신다고 했다.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조동사의 종류와 관용어구에 대한 간단히 설명하고, 다음 시간에는 조동사를 활용한 다양한 관용어구를 다룰 예정이라고 하셨다. '조동사'라는 개념은 간단하게 동사를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1차 조동사와 법조동사로 구분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세부적인 내용보다는 전체적인 그림을 보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하셨다. 그럼 13강 내용에 대해 살펴보자. 1) 1차 조동사 * 'be' : 진행형 또는 수동태를 표.. 2021. 3. 5.
[로즈 리의 그래머존] DAY5 - 11강 시제3 이번 11강 강의는 교재애 없는 보충수업이 진행됐다. 1) 시제의 일치/불일치 * 주절에 suggest(제안), insist(주장), demand(요구), order(명령) 등의 동사가 있으면 종속절에서는 시제일치와 상관없이 "(should)+동사원형" 사용 ex1) I / suggested / that we go to the park. → 나는(S) / 제안했다(3V) / 우리가 공원에 갈 것을(O) → 주절의 'suggest' 동사에 의해 종속절은 "(should)+go"가 됨 ex2) I / insisted / that she study hard for exam. → 나는(S) / 주장했다(3V) / 그녀가 시험을 위해 열심히 공부해야 한다는 것을(O) → 주절의 'insist' 동사에 의해 종속절.. 2021. 3. 4.
[로즈 리의 그래머존] DAY4 - 10강 시제2 지난 시간에는 시제의 개념에 대해 되짚어보고 완료시제와 기타 시제를 만드는 방법을 이해하는 시간을 가졌다면, 이번 10강에서는 "시간 · 조건 부사절" 대해 자세하게 살펴보았다. 우리는 시간 · 조건 부사절에 대한 풀이법은 알고 있는데 도대체 왜! 정말로 왜! 틀리는지, 어떤 실수를 하는지, 그 실수를 안하는 방법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1) "시간 · 조건 부사절"에서는 현재가 미래를 대신한다! ex1) "when 절" ① I / don't know / [when he will come]. → 나는(S) / 알지 못한다(3V) / 언제 그가 올지(O) → 3형식 문장으로 'when 절'은 목적어를 대신하는 명사절(언제~) → 명사절이므로 미래시제 사용 가능 ∴ 정문(맞는 문장) ② I / will tel.. 2021. 3. 3.
[로즈 리의 그래머존] DAY3 - 9강 시제1 8강은 1~7강에서 했던 "동사의 문형"에 대한 문제풀이였다. EBS 교재에 있는 기본 문제와 수능형 실전 문제 풀이를 통해서 실제로 문제를 풀 때 어떻게 풀어야 하는지,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 자세히 설명해주셔서 이해가 쏙쏙 됐다. EBS 교재는 없지만, 토익 문제를 통해서 같은 유형의 문제를 더 풀어보면서 스스로 문제를 푸는 방법을 익혀야겠다. 9강부터는 새롭게 "시제"에 대해 시작했다. 1) 시제 개념 * 진행형 : be Ving (V 하는 중이다.) - 과거 : was/were + Ving - 현재 : am/is/are + Ving - 미래 : will be + Ving * 항상 "현재시제"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 : 불변의 진리, 속담, 격언 * 항상 "과거시제"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 : 역사적.. 2021. 3. 1.
반응형